카테고리 없음

하루에 하나라도 배우자!(30/06/2025)

mcas0215 2025. 6. 30. 21:03

오늘은 간단한 유니티 기능을 알아보자.

바로 로컬라이제이션!

유니티에서 제공해주는 다중언어 시스템이다.

유니티 로컬라이제이션으로 손쉽게 다국어 지원하기

유니티(Unity)의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 패키지는 게임 및 애플리케이션의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등 다양한 에셋을 여러 언어와 문화권에 맞게 손쉽게 번역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강력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전 세계의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하여 앱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알아보기

유니티 로컬라이제이션 패키지는 다음과 같은 핵심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  에셋 및 문자열 현지화: 게임 내의 모든 텍스트(UI, 스크립트 등)뿐만 아니라, 특정 문화권에 맞는 이미지, 오디오, 폰트 등의 에셋을 언어별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언어에서만 다른 이미지나 오디오 파일을 사용하도록 지정할 수 있습니다.
  • 테이블 기반 관리: 모든 현지화 데이터는 '테이블(Table)' 형식으로 관리됩니다. **문자열 테이블(String Table)**과 **에셋 테이블(Asset Table)**을 사용하여 각 언어에 해당하는 텍스트와 에셋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 유연한 언어 전환: 사용자가 게임 내 설정 메뉴 등에서 직접 언어를 선택하고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손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 스마트 스트링(Smart Strings): 단순한 텍스트 번역을 넘어, 변수를 포함하거나 복수형 규칙(예: '1 apple', '2 apples')을 적용하는 등 동적인 문자열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유사 현지화(Pseudo-Localization): 실제 번역을 진행하기 전에, 텍스트가 길어지거나 특수 문자가 포함될 경우 UI가 깨지지 않는지 미리 테스트해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외부 연동: 구글 시트(Google Sheets)나 CSV, XLIFF 파일 형식으로 번역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내보낼 수 있어, 외부 번역가와의 협업이 매우 용이합니다.

로컬라이제이션 시작하기

유니티에서 로컬라이제이션 기능을 사용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면 됩니다.

  1. 패키지 설치: Window > Package Manager에서 'Unity Registry'를 선택한 후 'Localization'을 검색하여 설치합니다.
  2. 초기 설정: Edit > Project Settings > Localization으로 이동하여 'Create' 버튼을 눌러 로컬라이제이션 설정 에셋을 생성합니다.
  3. 언어(Locale) 추가: 'Locale Generator'를 사용하여 지원할 언어들을 추가합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Korean), 영어(English), 일본어(Japanese)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4. 테이블 생성: Window > Asset Management > Localization Tables에서 문자열 테이블에셋 테이블을 생성합니다.
  5. 데이터 입력: 생성된 테이블에 각 언어에 맞는 텍스트나 에셋을 'Key' 값을 기준으로 입력합니다.
  6. 컴포넌트에 적용: 현지화할 UI 텍스트나 이미지 게임 오브젝트에 Localize String Event 또는 Localize Asset Event와 같은 컴포넌트를 추가하고, 테이블에 생성한 Key를 연결해주면 설정이 완료됩니다.

이처럼 유니티의 로컬라이제이션 시스템을 활용하면, 코드를 거의 수정하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다국어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글로벌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